Репост из: 사제콩이_서상영
12/27 한국 시장과 2024년에 대하여
달러/원 환율이 1,480원을 넘어서기도 하는 등 원화 약세 기조가 확대. 대체로 달러 강세의 힘이 확대된 가운데 한국 정치 불확실성 영향 등으로 원화 약세가 진행된 것인데 결제 수요와 일각에서 언급된 숏커버 물량도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
주식시장은 배당락으로 인한 하락과 원화 약세가 확대되자 투자 심리가 크게 위축되며 하락이 확대. 다만, 수급으로 보면 기관은 금융투자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된 가운데 외국인은 대부분 업종에 대해 매도. 다만, 선물은 순매수하고 있어 선물을 포함할 경우 외국인은 순매수하고 있음. 수급적으로 매물이 크게 나오고 있지는 않지만, 위축된 투자 심리로 적극적인 매수세는 제한돼 수급 공백이 지수 하락을 더욱 부추겼다고 볼 수 있음. 오후들어 위안화가 강세를 보이자 달러/원 환율이 1,480원 미만으로 하락(원화 강세)이 진행되자 한국 증시 하락세 확대는 제한. 이러한 추이를 감안하면 달러/원 환율 안정 여부에 주목해야 할 듯.
한편, 2024년 한 해를 되돌아 보면 12월 26일 기준 나스닥이 33.37%, 대만이 29.85%, 항셍H지수가 26.71%, S&P500이 26.58% 상승. 그 외 대부분 국가들도 10%대 상승. 반면, KOSDAQ은 22.03% 하락한 가운데 브라질이 9.77%, KOSPI가 8.50%, 프랑스가 3.45%, 인도네시아가 2.99% 하락하는 차별화가 진행.
결국 정치불확실성 영향이 컸던 한국과 프랑스 등을 비롯해 재정 불안 이슈가 높아지며 연말에 하락폭이 확대됐던 브라질 등이 부진. 반면, AI 산업을 토대로 관련 기업들의 급등이 진행됐던 미국과 대만, 그리고 2023년 크게 하락했던 중국 증시가 경기 부양정책을 통해 강세. 결국 2024년은 미래를 위한 AI 산업과 정치 불안 이슈가 수익률 차이를 불러왔다고 볼 수 있음.
시장에서는 2025년에도 이러한 차별화가 지속되는지 여부에 주목. 특히 글로벌 경기가 둔화, 트럼프의 관세 정책, 올해 상승했던 종목군에 대한 고평가 논란, 미국 주식시장에 대한 쏠림, 중국 정부의 부양정책 규모, 한국 대선 여부 등 많은 이슈가 상반기에 몰려 있다는 점은 단기적인 불안 심리를 자극할 수 있음.
이에 많은 투자회사들은 상반기 변동성 확대 후 하반기 안정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는 요인. 이를 감안 불안심리를 완화시켜줄 수 있는 기업들 즉 실적이 양호한 기업들에 주목 해야 한다고 판단.
달러/원 환율이 1,480원을 넘어서기도 하는 등 원화 약세 기조가 확대. 대체로 달러 강세의 힘이 확대된 가운데 한국 정치 불확실성 영향 등으로 원화 약세가 진행된 것인데 결제 수요와 일각에서 언급된 숏커버 물량도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
주식시장은 배당락으로 인한 하락과 원화 약세가 확대되자 투자 심리가 크게 위축되며 하락이 확대. 다만, 수급으로 보면 기관은 금융투자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된 가운데 외국인은 대부분 업종에 대해 매도. 다만, 선물은 순매수하고 있어 선물을 포함할 경우 외국인은 순매수하고 있음. 수급적으로 매물이 크게 나오고 있지는 않지만, 위축된 투자 심리로 적극적인 매수세는 제한돼 수급 공백이 지수 하락을 더욱 부추겼다고 볼 수 있음. 오후들어 위안화가 강세를 보이자 달러/원 환율이 1,480원 미만으로 하락(원화 강세)이 진행되자 한국 증시 하락세 확대는 제한. 이러한 추이를 감안하면 달러/원 환율 안정 여부에 주목해야 할 듯.
한편, 2024년 한 해를 되돌아 보면 12월 26일 기준 나스닥이 33.37%, 대만이 29.85%, 항셍H지수가 26.71%, S&P500이 26.58% 상승. 그 외 대부분 국가들도 10%대 상승. 반면, KOSDAQ은 22.03% 하락한 가운데 브라질이 9.77%, KOSPI가 8.50%, 프랑스가 3.45%, 인도네시아가 2.99% 하락하는 차별화가 진행.
결국 정치불확실성 영향이 컸던 한국과 프랑스 등을 비롯해 재정 불안 이슈가 높아지며 연말에 하락폭이 확대됐던 브라질 등이 부진. 반면, AI 산업을 토대로 관련 기업들의 급등이 진행됐던 미국과 대만, 그리고 2023년 크게 하락했던 중국 증시가 경기 부양정책을 통해 강세. 결국 2024년은 미래를 위한 AI 산업과 정치 불안 이슈가 수익률 차이를 불러왔다고 볼 수 있음.
시장에서는 2025년에도 이러한 차별화가 지속되는지 여부에 주목. 특히 글로벌 경기가 둔화, 트럼프의 관세 정책, 올해 상승했던 종목군에 대한 고평가 논란, 미국 주식시장에 대한 쏠림, 중국 정부의 부양정책 규모, 한국 대선 여부 등 많은 이슈가 상반기에 몰려 있다는 점은 단기적인 불안 심리를 자극할 수 있음.
이에 많은 투자회사들은 상반기 변동성 확대 후 하반기 안정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는 요인. 이를 감안 불안심리를 완화시켜줄 수 있는 기업들 즉 실적이 양호한 기업들에 주목 해야 한다고 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