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 자산배분] 이영주 (자산배분의 창)


Гео и язык канала: не указан, не указан
Категория: не указана


글로벌 금융시장 뉴스/발간자료 소통 목적

Связанные каналы

Гео и язык канала
не указан, не указан
Категория
не указана
Статистика
Фильтр публикаций


[자산배분의 창(窓)] 하반기 자산배분 주요 관측 포인트, '엔 캐리 청산'

하나 자산배분/해외크레딧 이영주(T.3771-7788)

▶ 자료: https://bit.ly/3y9WflW
▶ 채널: https://t.me/hanaallocation

1. 지난 2년간 꾸준했던 엔저 압력과 일본 외환당국 직접 개입
-엔화 약세 심화 때마다 시장 직접 개입 통해 압력 낮춰온 일본 외환당국. 22년 9~10월 달러 대비 엔화 약세에 3회에 걸쳐 환시 개입 (투입 규모 9.1조엔)

-24년 4~5월에도 비슷한 규모 개입 통해 160엔/$ 사수. 그럼에도 BOJ의 정책금리 인상 및 QT 이행 지연에 6~7월초 엔 약세 가속화 진행. 실망스러운 당국 정책 의지에 시장 엔저 기대 확대, 결국 161엔/$ 돌파

-BOJ 긴축 전환 기대를 낮춘 경제 둔화. 낮은 경제 성장 모멘텀과, 정부 부채 및 초과 지준 (10년 전 대비 6배 이상) 규모 감안 시 적극적 긴축 어려운 구조

-슈퍼 엔저 장기화 발 내수 부담에 역대 최저치까지 하락한 기시다 지지율. 물가 통제 난항 속 실질임금 역성장 및 중소기업 마진 악화 역시 지속. 기업들의 해외자산 수익은 자국으로 회수되지 못한 채 빈부격차만 확대

-결국 7월 들어 환율 부담에 시장 개입한 외환당국, 5.5조엔 투입. 7월 11일부터 강한 엔저 되돌림 시작
(7.11일 161→7.31일 149.9엔/$)


2. (당국 직접 개입 외) 7월 강한 엔저 되돌림 발생 이유: “BOJ 긴축 기대와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1) 트럼프 당선 기대 상승
6월말 대선 후보 토론 이후 트럼프 지지율 빠르게 상승하며 시장 이목 집중. 지난 트럼프 1기 엔화 가치 큰 폭 상승했던 만큼 4월 아소 전 총리와의 회담에서 트럼프 후보가 엔 약세에 강한 불만 보인 점 역시 엔화 약세 베팅 부담스럽게 했을 가능성

2) 일본 내 슈퍼엔저 부담 고조와 긴축 전환 필요성

3) 美 금리 인하 가시권 진입

4) 헤지펀드의 기술주 리스크 축소와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레버리지 투자자들은 그동안 엔저 활용 Yen-Funded 거래 확대. 블룸버그는 상기 유동성의 빅테크 등 수익자산 투자 추정, 기술주 차익실현과 엔저 전환 분위기 형성되며 엔캐리 청산 물량 쏟아진 것


3. 하반기 자산배분 전략 수립 시 중요 관측 포인트 될 BOJ 정책과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여부
-엔 강세 급격히 진행된 만큼 단기 피로감 가중. 7월 통화정책 재료 소진되었고 경제 펀더멘털 재부각 시점에서 엔 강세 동력 여부 미지수

-9월 미 인하 사이클 본격화 시 엔 강세 기대에 2차 엔캐리 청산 가능성. 단, 짙은 보험성 성격 인하에 HFL 기대 커진다면, 다음 BOJ 정책 기대 소멸 시 엔 강세 언제든 되돌림 발생 가능 (불확실한 엔화 방향성)


(컴플라이언스 승인 득하였음)


🍎 31일, 일본재무성 발표:
▶6월 27일~7월 29일 사이 외환 개입 (규모 5.53조엔)
- 7월 11~12일: 달러당 161.79엔 ▶ 157.4엔
- 7월 24~25일: 달러당 155.98엔 ▶ 151.99엔
- 7월 31일: 저점 149.7 기록 후 149.9 마감

▶미/일 2년물 금리 격차 축소 지속: 7/31 380bp 기록 (Vs. 고점 23.10월 515bp)

▶USD/JPY 헤징 코스트 (3개월) 하락 흐름: 7/31 519bp 기록 (Vs. 고점 23 10월 600bp)


** 엔화 강세 지속될까? 무엇을 더 확인해야 할까?
- 엔화 강세는 단기에 상당히 숨가쁘게 진행된 만큼 숨고르기 필요
- 통화정책 모멘텀이 지나고 일본의 펀더멘털이 결국 중요해질 텐데 엔화 강세를 지속 밀고 나갈 정도로 성장이 받쳐줄지 의문
- 향후 일본의 추가 통화 긴축은 더욱 신중해질 수 있는 만큼 결국 미국의 금리인하로 다시 한번 관심이 쏠릴 것 (미/일 금리차 추가 축소 가능성 여부)
- 美 금리 인하 사이클 시작이 가시권에 진입하면 엔강세 기조는 지속할 수 있음.
다만 (보험성) 미국의 첫 금리 인하 이후로 HFL 기조가 오랜 시간 이어질 경우, 엔 강세의 힘은 되돌려 질 수 있음을 경계


🍎 자산배분 Insight 2

◆ 엔화, 24.7월 이후를 미리 들여다보기

** 7월 중순. 분위기 반전되며 엔저의 강한 되돌림 발생
그 첫번째 트리거는 ‘트럼프 지지율 상승과 트럼프 공약 재주목’
- (6월말 바이든 Vs. 트럼프 TV토론 이후) 트럼프 지지율이 빠르게 상승. 이에 시장은 일제히 트럼프 공약을 주목
- 1.0 트럼프 집권기에 엔/달러는 17~21년말 새 큰 폭의 평가 절상이 일어났음 (117엔/달러 → 104엔/달러) 이에 비춰, 일각에서는 제2플라자 합의 가능성 거론
- 실제 지난 4월 (전) 아소총리와 트럼프 회담에서 트럼프는 엔약세의 불만을 강하게 피력, 국제정세에 있어서도 엔약세는 투자자에게 리스크가 될 수도 있다고 인지

** 두번째 트리거, ‘일본 내에서 불거진 슈퍼엔저 부담’ (커지는 긴축 전환 필요성)

** 세번째 트리거, ‘미국 금리 인하 가시권 진입’ (미/일 금리격차 축소 지속 가능성)

** 네번째 트리거, ‘헤지펀드의 기술주 리스크 축소와 앤캐리 청산’
- 헤지펀드의 기술주 리스크 축소 흐름이 거세지며 엔화 약세 베팅은 언와인딩되기 시작 (7월 중순 약 2주 동안에만 74,000계약 순매도 포지션 청산) ▷ 엔캐리 트레이드의 추가 청산 가능성
- BOJ, 7/31 기준금리 인상 단행 0~0.01% → 0.25%, (지난 3월 통화정책 정상회 이후 첫 추가 인상) & QT 계획 발표 (점진적 축소 계획) 이날 엔화는 150엔/달러 급락


** 일본 경제 펀더멘털 우려는 더더욱 일본 긴축 가능성에 어두운 그림자 제시
- 일본 경제 여건은 (환율 외) 경제 모멘텀이 낮고, 정부부채와 초과지준 (10년전 대비 8배) 규모를 감안할 때, 적극적 긴축이 어려운 상태
- 초엔저를 뛰어넘는 슈퍼엔저로 내수 경제 둔화. 인플레 압박에 실질 임금 증가율은 (-) 상태를 지속
- 원자재/수입품 가격상승 전가가 최종재로 이어지지 못하면서 중소기업 마진 악화 (부도율 상승). - 해외 자산을 보유하고 해외 투자를 이어가는 수출/대형/우량기업들의 부는 일본 자국으로 들어오지 못한 채 빈/부 격차만 확대
- 2Q 들어서는 엔저 낙수효과가 슈퍼엔저 비용 부담으로 상쇄 (무역 수지 3~5월 연속 하락)
- 국내 (중소) 기업들의 (투입) 비용 부담 호소에 PMI 지수 하락 (성장 정체)
- 기시다 내각 지지율은 여론조사 결과 역대 최저치까지 추락


🍎 자산배분 Insight 1.

FOMC만큼이나 중요해진 BOJ 통화정책회의

◆ 엔화, 24년 7월 이전으로 기억 되감기

** 지난 2년간 꾸준했던 엔저 압력과 일본 외환당국의 개입
- 22년 9~10월, 당시 엔화는 달러당 145~151엔 등락. 그러나 엔저 압박이 심화될 때마다 일본 당국은 세 차례에 걸쳐 외환시장에 개입 (약 9.1조엔 규모 투입)
- 24년 4~5월, 160엔/달러 선이 위협받자 일본외환 당국은 다시 9.8조엔 규모로 시장 개입
- 이렇게 일본 당국은 지난 2년간 엔화약세 심화를 컨트롤해 왔다고 평가.
- 그런데 6월들어 이런 개입마저 불편해짐. 미국은 상반기 환율 보고서에서 일본을 다시 관찰 대상국으로 편입시켰기 때문 (대미 무역 수지 흑자가 주된 이유였지만, 옐런 재무부 장관은 24년 4~5월 일본의 외환 시장 개입을 지적)

** 24년 6~7월초, 시장은 BOJ와 일본 당국의 긴축 의지에 크게 실망. 엔화가치 하락 가속화
- 6월 통화정책회의에서 BOJ는 정책금리 인상은 물론 (소극적) QT 이행마저 지연시킴
- 이에 시장은 BOJ의 통화긴축 의지가 매우 낮다고 판단. 엔저 압박 가속화 → 161엔/달러 돌파 (슈퍼 엔저 시대 개막)




🍎 자산배분 Insight 3

** 그럼에도 트럼프가 관세 부과와 약달러를 동시 이행하려면 (빠른) 美 경제 둔화를 경험해야 함.
관세 부과에 따른 수입품 가격 상승으로 미국 소비가 (수입품+국내 대체)가 현저히 둔화되고 디플레 조짐. 이에 큰 폭 금리 인하를 통해 통화 약세를 유도할 수 있음 ▷ 단, 트럼프 경제 성장 목표와는 상충된 그림


🍎 자산배분 Insight 2

** 관세 부과 직후 강달러 전개 가능성 ① 관세 부과 시 (해당) 수입품 가격 상승
▷ 美 거주자들은 상품 소비 라인 변화 (자국상품 수요↑, 해외상품 수요↓)
▷ 높아진 비용 부담 속 고금리 지속
▷ 강달러 견인 ② 외국 중앙은행은 관세 부과에 따른 수출 손실을 상쇄하기 위해 금리 인하로 대응
▷ 자국 통화 약세 견인
▷ 이를 예상한 글로벌 투자자들은 포트폴리오에 달러 자산 추가
▷ 달러가치 상승

** 단, 시간이 지나며 달러강세는 둔화될 것. 글로벌 주요국 대다수 통화약세 경쟁 구도 가능성
① 비싼 국내 대체품/수입품으로 美 거주자의 총 수요/투자 둔화. 게다가 강달러 환경과 보복 관세가 美 수출 둔화를 야기.
② 경제대국 (상품 가격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소비력 보유국)의 관세부과는 미국외 글로벌 생산/수요 모두를 둔화시켜고, 미국과의 공동 비용 부담을 야기. 결국 미국과 무역상대국들의 통화약세 경쟁 구도 가능성


🍎 자산배분 Insight 1
트럼프 관세 공약, 긴장은 외환시장에서!.

** 트럼프 관세 공약은 논리적 모순이 상당한 만큼 시장 신뢰도 낮아
첫째, 관세를 부과해 무역 불균형 해소 (미국 무역 적자 축소)를 주장
둘째, 동시에 달러 강세에 불만을 가지며 상대국 통화 약세를 비판

** 그러나 여러 거시경제 모델은 (영구) 관세가 우선적 달러 강세를 유도할 것이라 추정
- Equilibrium in goods market : 글로벌 상품시장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달러 상승은 불가피


*과격한 관세를 부과하면
규모측면에서도 비합리적이지만 경제 기능측면에서도 비합리적인 결과를 야기
- 산업 생산 효용성 왜곡
- 부의 재분배 실패 (빈익빈 부익부 조장)

*하위소득 계층은 소득세 인하 효과없이 관세 인상에 따른 가처분 소득 감소 효과만 존재
*반면, 최상위 계층은 관세 인상에 따른 부작용보다 소득세 인하 효과가 커서 가계 가처분 소득이 증가하는 상황


*PIIE는 Laffer Curve를 활용해 관세율에 따른 관세수익을 추정
-민감도 -1 (관세10%↑/수입-10↓) :
관세율 50%, 관세수입 $7,780억
-민감도 -0.75
관세율 68%, 관세수입 $1조원
-민감도 -1.25
관세율 40%, 관세수입 $6,220억

관세율 50프로에도 기존 소득세의 40%미만의 수입 발생에 불과

*Laffer Curve:
보통 세율이 높아질수록 세수가 늘어나지만, 세율이 일정수준을 넘어가면 세수가 오히려 줄어드는 관계를 보여줌


‘소득세를 소비세로’ 트럼프 아이디어의 허술함

- 23년 기준 연방 총수입 $4.4조
- 이중 소득세는 58% (개인이 $2.2조 이며, 49% 차지) 반면, 관세 수입은 2%에 불과

- 물리적으로 소득세를 관세로 대체하기 어려움. 만약 트럼프 아이디어가 현실성을 가지려면 굉장히 높은 관세율이 적용되어야 함. 문제는 세율이 상승하더라도 수입이 감소해 기반 자체가 줄어들게 되므로 $2조달러 목표 달성은 애초에 불가능


하나 자산배분/해외크레딧 이영주(T.3771-7788)

[자산배분 Weekly] 트럼프의 ‘소득세를 소비세로’, 과연 합리적일까? (7/22~7/26)

◆ 트럼프의 '소득세를 소비세로'. 과연 얼마나 합리적인 아이디어일까?
1. 트럼프의 관세 공약
1) 전 수입품 10% 보편관세 부과 2) 60% 대중국 관세 3) 상호주의 관세 가능성
- 단순히 관세 인상 넘어 소득세 대체하겠다는 아이디어 제시
- 트럼프 관세 공약의 현실 가능성에 대한 시장 의견 분분


2. 미국 Federal Revenue 구조 분석
- (23년 기준) 美 연방 총수입 $4.44조. 이중 소득세는 약 $2.6조 (58%, 개인 $2.2조+법인 $0.8조), 이에 비해 관세 소득 $0.08조 (2%)에 불과

- 소득세의 관세 대체 불가능. 트럼프 아이디어 실현되려면 매우 높은 관세율 필요. 문제는 세율 상승해도 수입이 감소해 기반 자체가 감소, 애초 $2조 목표 달성은 불가능


3. 피터슨 국제경제 정책연구소 (PIIE) 보고서 분석
- 트럼프 관세 공약 (보편관세 10% & 대중국 관세 60% 부과)에 따른 관세 수입을 연간 $0.225조 추정. 하지만 보복관세, 환율 변동에 따른 수출 부진, 수입 의존도 높은 산업 loss 등 미고려 ▷ ‘과대평가’로 분석

- 래퍼 곡선 통한 시나리오 결과 (Laffer Curve: 세율/세수에 관한 경제학 이론)
*관세에 따른 수입 민감도 -1 가정: 관세 수익 극대화 위해 관세율 50% 적용 시, 최대 수익 연 $7,780억 추정. 50% 관세율에도 최대 관세 수입은 현 소득세 수입 40% 미만
*민감도 -0.75 가정: 관세 수익 약 $1조. 단, 관세율 65~68% 적용 필요


4. 결국 트럼프 아이디어 ‘소득세를 소비세로 대체’는 규모 측면에서도 비합리적이지만 경제 기능 측면에서도 비합리적

1) 과격한 관세 부과로 산업 생산 효용성 왜곡 → 경제 효율성 하락
관세는 수입품에만 부과, 미국 경제는 비교우위 대신 비교열위 상품까지 생산해야 될 가능성. 현재 미국은 완전고용 상태. 비교열위 상품 생산하려면 필연적으로 경제의 다른 부문 자원 이동시켜야. 이 과정에서 물적/인적 자원 모두 低생산성/低임금 부문으로 이동 ▷ 미 경제 효율성 하락

2) 소득세는 부의 재분배에 매우 중요한 역할. 이 또한 왜곡
고관세에 수입 가격 상승시 저소득층은 기존 소득 상당분을 상품 거래에 할당 → 소득세 축소 효과 없는 가운데 가처분 소득만 축소되는 결과. 반면, 고소득층은 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인 가운데 소득세 축소 효과 더 커지면서 가처분 소득은 기존 대비 증가 ▷ 빈익빈 부익부 조장 및 부의 재분배 실패



◆ 크레딧 주간 동향
1) 미국 10년물 4.195% (-4.5bp) / 독일 10년물 2.406% (-6.0bp)

2) 미국 IG 스프레드 92.5bp (+1.7bp): 금융, 필수소비재 섹터 주도 하에 전 섹터 스프레드 확대
- 유나이티드헬스, 단기채 차환 목적 대규모 ($120억) 발행 진행. 비금융기업 중 애브비 ($150억), 시스코 ($135억), 브리스톨-마이어스 ($130억) M&A 자금 조달에 이어 올해 네 번째로 큰 규모
- 모건스탠리, 씨티 등 대형은행들의 (고정금리) 중장기 우선주 발행 확대. 22년 인상 사이클 이후 크게 감소한 뒤 재확대 양상

3) 미국 HY 스프레드 304.5bp (+2.5bp): 커뮤니케이션 섹터 제외한 업종 전반 스프레드 확대
- 루멘 테크놀로지스 (CCC+)와 마이크로소프트의 AI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인프라 계약 체결 소식에 전주에 이어 커뮤니케이션 섹터 강세 지속. 다만, 상반기 섹터 내 채무 불이행 우려 부각됐던 만큼 연초대비 스프레드는 111.9bp 확대 상태


▶ 자료: https://bit.ly/46w82rq
▶ 채널: https://t.me/hanaallocation

(컴플라이언스 승인 득하였음)


안녕하세요
하나 자산배분 이영주 입니다.
글로벌 금융시장 관련 전반적 소식과 발간 자료를 공유드리려 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https://t.me/hanaallocation

Показано 15 последних публикаций.

290

подписчиков
Статистика канала